2024년 12월 21일(토) 협회에서 <제 5회 인공지능 윤리 대전 - 딥페이크의 위협과 우리의 선택> 컨퍼런스를 개최하였습니다. 2020년부터 5회째 개최된 국내 최초 유일의 'AI 윤리' 주제의 컨퍼런스인 <제 5회 인공지능 윤리 대전>은 올해 전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했던 AI 윤리 이슈인 '딥페이크'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서울창업허브 공덕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되었으며, 전창배 이사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박미애 경북대학교 인공지능혁신융합대학사업단 계약교수가 "딥페이크 기술과 활용의 윤리적 이슈와 해결 방안"을 주제로, 고영상 홈플러스 개발팀장이 "딥페이크 탐지 기술의 개발 현황과 활용 방안"을 주제로, 홍선기 동국대학교 법학과 교수가 "딥페이크 관련 국내외 법과 정책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손형주 원곡초등학교 교사가 "딥페이크 관련 국내외 인공지능 윤리 교육 현황과 제언"을 주제로 강연하였습니다.
이어 진행된 토론 및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강연자와 청중간 토론과 Q&A가 이어졌으며, 시민들과 함께 '딥페이크'에 관한 다양한 이슈를 논의하고 공유하며 마무리 되었습니다.
시민, 학생, AI관계자 등 인공지능 윤리에 관심 있는 많은 참가자들의 호응과 참여 속에서 성료된 인공지능 윤리 대전은 우리나라 대표의 인공지능 윤리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해 나가겠습니다.
2024년 12월 21일(토) 협회에서 <제 5회 인공지능 윤리 대전 - 딥페이크의 위협과 우리의 선택> 컨퍼런스를 개최하였습니다. 2020년부터 5회째 개최된 국내 최초 유일의 'AI 윤리' 주제의 컨퍼런스인 <제 5회 인공지능 윤리 대전>은 올해 전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했던 AI 윤리 이슈인 '딥페이크'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서울창업허브 공덕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되었으며, 전창배 이사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박미애 경북대학교 인공지능혁신융합대학사업단 계약교수가 "딥페이크 기술과 활용의 윤리적 이슈와 해결 방안"을 주제로, 고영상 홈플러스 개발팀장이 "딥페이크 탐지 기술의 개발 현황과 활용 방안"을 주제로, 홍선기 동국대학교 법학과 교수가 "딥페이크 관련 국내외 법과 정책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손형주 원곡초등학교 교사가 "딥페이크 관련 국내외 인공지능 윤리 교육 현황과 제언"을 주제로 강연하였습니다.
이어 진행된 토론 및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강연자와 청중간 토론과 Q&A가 이어졌으며, 시민들과 함께 '딥페이크'에 관한 다양한 이슈를 논의하고 공유하며 마무리 되었습니다.
시민, 학생, AI관계자 등 인공지능 윤리에 관심 있는 많은 참가자들의 호응과 참여 속에서 성료된 인공지능 윤리 대전은 우리나라 대표의 인공지능 윤리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해 나가겠습니다.